우분투(Ubuntu) 22.04 Server 로케일(locale) 설정하기

안녕하세요. YeopBox의 상큼한놈 입니다.

우분투(Ubuntu) 22.04 Server를 최초로 설치 시에는 기본 값으로 ‘en_US.UTF-8’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UTF-8로 구성되어 있기에 그대로 유지해도 큰 문제는 없었으나, 한국 내에서 사용해야하는 환경 상으로 ‘ko_KR.UTF-8’로 변경하는 작업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아래와 같이 ‘locale’을 확인해 보면 ‘en_US.UTF-8’로 설정되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분투 22.04 Server Locale 변경하기

먼저 한국어 언어 지원 패키지를 설치해 줍니다.

설치가 되면 locale 설정 파일을 루트권한을 가진 문서편집기로 열어줍니다.

이후 아래와 같이 ‘en_US.UTF-8’을 ‘ko_KR.UTF-8’로 변경 후 저장해 줍니다.

SSH 접속에서 로그아웃 후 다시 진입하면 아래와 같이 ‘ko_KR.UTF-8’로 수정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마치며…

본 작업은 리눅스를 이용할 때 기본적으로 확인하는 파트 중에 하나로써 외부 고객사 환경에서 locale을 점검하고 확인해야 한다는 사실은 잊지 말아야 합니다.

때때로 ‘EUC-KR’ 환경으로 돌아가는 서버도 있기에 ‘locale’을 통한 서버 환경 확인은 혹시 발생할 수 있는 버그를 줄여 주는 방법 중에 하나입니다.

(물론 본인이 관리자가 아닌 이상 함부로 locale을 변경해서는 안됩니다.)

사이트에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Avatar photo

상큼한놈

취미삼아 1인 인디게임을 개발하며 웹 프로그래머로 일하고 있는 상큼한놈 입니다. 사이트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은 스팸이 많아 승인제로 운영중에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