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OS

우분투(Ubuntu) 22.04 Server 사용자 생성 및 삭제 방법

안녕하세요. YeopBox의 상큼한놈 입니다.

이번에는 우분투 22.04에서 일반 사용자 추가 및 삭제 방법에 대해서 확인해 보고자 합니다.

거기에 그룹 생성 및 적용 방법에 대하여도 간단히 알아볼 예정입니다.

우분투 계정 생성 및 삭제

아래와 같이 ‘adduser’ 커맨드를 통하여 사용자를 생성하실 수 있습니다.

과정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홈 디렉토리 생성과 그룹 test01이 추가되어 사용자 계정이 생성됩니다.

삭제는 아까의 반대로 ‘deluser’ 커맨드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사용자 계정 삭제는 완료되었지만 아래와 같이 /home 디렉토리로 이동 시 home 경로가 삭제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중요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 후 해당 폴더를 삭제해 줍니다.

그럼 최종적으로 사용자 삭제 과정은 완료되었습니다.

이번에는 adduser 커맨드가 아닌 useradd 커맨드를 통하여 계정을 생성해 보겠습니다.

useradd의 경우 수동으로 비밀번호 및 사용자 폴더를 생성해주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passwd를 확인하여 기본 홈 디렉토리를 확인해 보면 /home 경로 하단으로 자동으로 지정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home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사용자 계정 경로를 생성한 뒤 권한을 할당해 줍니다.

자동으로 생성된 그룹인 test01을 확인해 보면 아래와 같이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룹 생성 및 사용자 그룹 지정 방법

addgroup 커맨드를 이용하여 그룹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그룹에 생성된 그룹을 아래와 같이 추가해 줍니다.

그럼 다음과 같이 그룹이 ‘test01’ and ‘testgroup’으로 지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성된 사용자로 접속하는 방법

ssh나 su 커맨드를 통하여 생성된 계정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오늘은 사용자 추가 및 삭제에 대하여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그룹에 대한 내용은 간단하게 알아보았는데요.

웹사이트 운영 시 운영 파일을 각 사용자 별로 따로 생성하는게 아니라면 그룹으로 지정해서 관리하는 것도 편리하더라구요.

루트 권한이 없는 일반 사용자를 생성하여 안전하게 외부에서 접속하는 경우도 있기에 이렇게 추가/삭제를 진행한다는 정도만 알아두시면 추후 서버 관리시 편리하실 겁니다.

수정 및 추가가 필요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Avatar photo

상큼한놈

1인 인디게임을 개발하며 프로그래머로 일할 준비를 하고 있는 상큼한놈 입니다. 사이트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